URL은 1994년 월드 와이드 웹의 창시자 팀 버너스 리와 IETF의 URI 워킹 그룹에 의해 1992년 IETF Live Documents Birds of a feather에서 시작한 협업의 산물로서 RFC 1738에 정의되었다.
출처 : https://ko.wikipedia.org/wiki/URL
URL은 네트워크에서 자원의 위치를 알려주기 위한 프로토콜(규약)임, 웹 사이트 주소 + 네트워크상의 자원의 주소
https://comic.naver.com/webtoon/weekday.nhn
위는 네이버 웹툰의 주소임
1. https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을 줄여서 HTTP라 칭함 웹(www)상에서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프로토콜이며 문서(HTML)을 주고받는데 사용함 HTTPS란 위의 HTTP + Secure Socket Layer 임 >>>> 조합해보면 보안이 강화된 HTTP라는 말임
HTTPS는 주고받는 정보를 SSL(Secure Socket Layer)을 통해 암호화를 함
SSL을 알기 위해서는 대칭키, 공개키 방식을 알아야함
대칭키 방식 : 암호화와 복호화에 같은 키(대칭키)를 사용하는 암호화 알고리즘
- 동일한 키를 통해 암호화를 하고 복호화를 한다는 말임
- 단점은 대칭키의 공유임 >> 대칭키를 전달하는 과정에서 해킹의 위험
- 위 단점때문에 공개키 암호화 방식이 등장했음
공개키 방식 : 암호화, 복호화에 사용하는 키가 서로 다른 암호화 알고리즘
- 암호화된 데이터를 받으면 자신이 가지고있는(공개키) 를 통해 복호화 할 수 있음
- 공개키는 공개 가능한 공개키와 자신이 가지고있는 개인키 두개의 종류가 있음
- 공개키를 통해 암호화된 데이터는 개인키를 통해 복호화 가능
- 개인키를 통해 암호화된 데이터는 공개키를 통해 복호화 가능
길동이와 철수를 예로 들어보겠음
1. 길동이와 철수는 웹에 공개되어있는 서로의 공개키를 얻음
2. 길동이는 철수의 공개키를 통해 데이터를 암호화해서 철수에게 전송함
3. 철수는 자신이 가지고있는 개인키를 통해 데이터를 복호화할 수 있음
4. 철수는 복호화된 데이터를 확인하고 길동이의 공개키를 통해 길동이에게 답장을 전송함
5. 길동이는 자신의 개인키를 통해 받은 답장을 복호화해서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음
SSL은 공개키+대칭키 를 조합한 방식임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주고받는 데이터는 대칭키 방식으로 암호화함
데이터가 아닌 데이터를 복호화 할때 쓰이는 대칭키는 공개키 방식으로 암호화해서 전송함
2. 도메인 or IP
** comic.naver.com
IP주소는 192.168.213.128과 같이 '.' 기준 4개의 뭉치로 구성되어 있음
1개의뭉치는 8비트로 총 32비트로 구성되어있음 == 약 43억개 ....
이 IP주소를 외워서 해당 사이트에 접근하는것은 한계가 있음, 도메인이란 이 IP주소를 문자를 통해 만든 인터넷 주소임
3. /
comic.naver.com/webtoon/의 '/' 는 trailing slash라고 부름
해당 리소스가 디렉토리임을 의미함 따라서 webtoon==디렉토리임
4. 파일명
/webtoon/weekday.nhn의 마지막부분 weekday.nhn 은 webtoon 디렉토리 내부에 있는 weekday.nhn이라는 파일임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S3 비용 계산하는 사이트 (0) | 2022.11.11 |
---|---|
Fireabase Functions 셋팅 (0) | 2020.12.29 |
댓글